본문 바로가기
  • Cooling & Warming - 부제 : 공대에서 살아남기
Aspen Plus

Aspen Plus 아스펜플러스 특강 6차

by 동르링 2023. 8. 7.

8/7 교육... 정말 정말 피곤하다 ㅠㅠ😒😒😪

*오늘 교육내용 자료는 책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메일로 보내주심

 

SRK 와 MIBK 내용이 다시 나온다. 

우리가 원하는 90%를 얻어내고자 할 때, Sensitive Analysis 를 통해 주입된 양의 범주를 대강 알 수 있다. 

그러면 MIBK도 특정 지정할 수 있겠지. 

지난번에 말했듯 Design Spec와 SA는 같이 못씀. 쓰려면 Active를 해제해야함.

 DS나 SA중 암거나 써도 됨. (아마도)

 

Purity와 recovery는 다르다.  

 

#Exercise 1

1. 95 mole%(WT%)의 에탄올의 purity를 얻기위한 압력(bar)를 구해라 -> SA,DS방법 사용 (Adiabatic Flash)

(1) Feed : Equiweight % of CO2 & Ethanol with 100kg/hr

                25C 100bar

(2) Flash condition : 25C 10bar

(3) Property Method : UNIFAC

2. 곡선 그래프 보여라 에탄올의 압력과 CO2의 purity

 

mole flow 말고 mass frac으로 두기
bolck-var쓰는 이유는 Stream이 아니라 조건으로 어떻게 해야만이 값이 나올것. vary라는 것이 조건일 것

ㄴ이 내용 피피티 있으니까 그거 보고 다시 하기


#Exercise 2

Problem Statement 

디자이너는 재사용 스트림의 flow rate를 얻고 싶어하고 product stream의 flow rate 또한 얻고싶어한다. 

1. Feed : Pure iso-butane, 100kg-mole/hr, 25C, 1atm

2. Product : 95mole% iso-butane

                     5mole% n-butane

Folwrate??

3. Recycle 

80mole% iso-butane, 20mole% n-butane, 25C, 1atm

ㄴ이것도 피피티에 있음

 

<Distillation Tower Internals> 증류 관련

steady state의 시뮬레이션은 무조건 잡아내라?

변수가 많은데 그 모든 조정은 control valve가 함. 단열 팽창도 밸브가 하는 것이고.. 

시뮬레이션 하게되면 뭐 어떤 상태로 feed를 넣어야하는지 등등을 알 수 있다. 

타워들의 모양들이 매우 다양하다. 겉에서 보는 건 티나지 않음 

증류에서는 원료가 상당히 중요, 원료를 분석해야 함. 

분리하는 기술들이 많음 (Absorption, Adsorption, Crysyallization, Drying, Distillation, Evaporation, Extraction.Flash등)

 

Distillation Column or Tower?? => 두개 똑같음 사람마다 즐겨쓰는게 다름

일반적으로는 Tower로 부르고 공정에서는 세분하게 분류할때 Column으로 쓰는 경향

 

Batch Distillation 화학적인 반응이 일어나진 않음. 약간의 압력밥솥. 인풋 아웃풋도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 결과물이 얻어지는 경우를 Batch라고 함. 

Continuous distillation 외부에서 어떤 물리적인 힘이 가해져서 운전이 불가능 해지는 경우가 아니고서는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계속 반응을 하는 것. 

Extractive Distillation 추출 증류 

Azeotrope Distillation 

Catalytic distillation : n-Butane (1-Butane, 2-Butane,,,,) 중 하나를 없애버리고 싶은데 까다로움

예전에는 증류탑 앞에 반응기를 둬서 미리 반응을 시켰지만 요새는 증류탑 안에 반응기를 넣음으로써 사이즈를 

줄일 수 있음. 설계는 편하지만 반응기가 안에 들어가 있기때문에 전체가 영향을 받게됨. (단점) 

하지만 지금은 발전이 되어서 ㄱㅊ음

 

Absorber : 불순물을 제거하는 경우 (흡수)

Stripper : 흡수와 반대임. 가열을 해서 특정 온도 압력을 줌으로써 기체를 제거하는 경우

=> 얘네둘은 맨날 붙어다님

소형원자로(MSR/SMR)

MEA, TEA,,,? 뭐 이 방법중에 뭐가 더 CO2를 더 잘 잡아내느냐? 

Stabilizer.

 

Column internals 

single pass tray / multipass tray

feed가 정말 중요함. 

 

시뮬레이션 column가면 DSTWU 

light key는 뒤에있는게 key가 되고 heavy key는 처음 있는 것이 key가 됨

ex ) AB , ABC면 B와 C가 key(light key) / A가 heavy key

 

 

굳이 0.001로 안해도 됨 걍 유사하게... 위에올라오는게 0.999라고 생각
1.5가 너무 작다고 함.
미니멈이 3.6 정도,,, actual stages 가 41 정도 필요함 feed는 18정도로 넣어라
BLOCK 인풋에 있음10~75는 임의

 

RUN하면 또 에러가 뜸. 저기 들어가봐
커스텀 누르면
요렇게

 

오늘은 여기까지